|
 |
|
주문제작품은 고객의 취향 및 주문의 목적, 서류의 규격 및 양 그리고 정해진 예산에 의하여
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질 수 있습니다.
여기에서는 고객께서 주문하시는데 다소나마 도움이 되고자 주문제작에 관한 정보를 드립니다. |
|
|
|
|
|
 |
|
▶ SOLID PP |
|
 |
|
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재질로 0.6T~1.5T 정도의 후도가
통상적으로 사용된다.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소용량의 철을
할때 주로 사용되며 가격은 저렴한 편이다.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 및 포켓 부착 작업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
대량 주문인 경우 옵셋 인쇄도 가능하다.
하지만 흑색, 청색 등 보편적인 색을 제외하고는 소량 주문이 쉽지 않으며
표지가 얇아 변형 되기가 쉬우므로 장기 보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. 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LEVER 장식, SPRING 장식, LETTER 장식, 소용량의 RING 장식, D-RING 장식 |
|
|
 |
|
 |
 |
|
▶ 발포 PP |
|
 |
|
Solid PP를 발포시켜 밀도를 낮춘 재질로 1T~2T 정도의 후도가
대부분 사용되며 부피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부드러운 질감을 주며
내구성이 뛰어난 동시에 잘 휘어지지 않는다.
따라서 중용량 이상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가격은 그리 저렴하지 않다.
박(箔)인쇄, 실크 스크린 인쇄 및 포켓 부착 작업이 가능하며
옵셋 인쇄는 불가능 하다.
기성 규격을 제외하고는 소량 주문이 쉽지 않으며 표지의 탄력이 좋아
장기 보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. 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RING 장식, D-RING 장식, SPOT 장식, PIPE 장식 |
|
|
 |
|
|
|
|
 |
|
▶ VINYL PAPER |
|
 |
|
드라이 판지에 VINYL PAPER를 접착한 표지이며 변형이 거의 없고
내구성이 우수해 중용량 및 대용량의 화일에 주로 사용된다.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 및 포켓 부착작업이 가능하며
옵셋 인쇄는 불가능 하다. 특별한 색상을 제외 하고는 소량 주문이
가능하며 주로 중, 장기 보관시 사용된다. 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RING 장식, D-RING 장식, LA 장식, SPOT 장식, PIPE 장식 |
|
|
 |
|
 |
 |
|
▶ 포(布) |
|
 |
|
드라이 판지에 포(布)를 접착한 표지이며 변형이 잘 되지 않고 내구성이
단연 뛰어나 대용량 화일에 주로 사용된다.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가 가능하며 옵셋 인쇄 및
포켓 부착 작업은 불가능하다.
소량 주문도 가능 하지만 가격이 높은 편이며 거의
장기 보관용으로 사용된다. 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SPOT 장식, PIPE 장식, D-RING 장식 |
|
|
 |
|
 |
 |
|
▶ 옵셋 인쇄물 |
|
 |
|
드라이 판지에 옵셋 인쇄물을 접착한 표지이며 이벤트 행사 및
카탈로그, 교재 등의 용도에 주로 사용된다. 소용량, 대용량 보다는
중용량형 화일에 주로 사용되며 소량 주문시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.
보관의 용도로도 쓰이지만 대부분 배포용으로 제작된다.
일반적으로 라미네이팅 가공을 하지만 PVC코팅 가공시
포켓 부착작업이 가능하다. 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RING 장식, D-RING 장식, SPOT 장식 |
|
|
 |
|
|
|
|
 |
|
▶ SHEET |
|
 |
|
판지에 0.2T~0.35T 후도의 SHEET를 씌워 고주파 가공한 표지이며
변형이 잘 되지 않으나 내구성이 약하여 겨울에 특히 취약한 편이다.
반면 외관이 깔끔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
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수용이 가능하다. |
|
 |
|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 및 포켓 작업이 가능하며 옵셋 인쇄는
불가능하다. (단 투명 시트가 포함 가공된 바인더에는 옵셋 인쇄물을
끼워 고주파 가공 할 수 있다)
기존 금형이 있을 경우 소량 주문을 하여도 가격 부담이 크지 않으나
새로운 규격으로 주문시에는 금형비 부담으로 인하여 가격이 높아진다.
내구성이 약하여 장기 보관용으로는 그리 적합하지 않다. |
|
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LEVER 장식, RING 장식, D-RING 장식, SPOT 장식, PIPE 장식 |
|
|
 |
|
 |
 |
|
▶ CUSHIION SHEET |
|
 |
|
판지에 0.6T~0.8T 후도의 CUSHION SHEET를 씌워 고주파 가공한
표지이며 SHEET 표지 보다 변형이 적고 내구성도 강한편이다.
SHEET를 발포시켜 밀도를 낮춰 푹신한 감이 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
주며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의 화일로 두루 사용된다. |
|
 |
|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 및 포켓 작업이 가능하며 옵셋 인쇄는
불가능하다. (단 투명 시트가 포함 가공된 바인더에는 옵셋 인쇄물을
끼워 고주파 가공 할 수 있다)
기존 금형이 있을 경우 소량 주문을 하여도 가격 부담이 크지 않으나
새로운 규격으로 주문시에는 금형비 부담으로 인하여 가격이 높아진다.
내구성이 약하여 장기 보관용으로는 그리 적합하지 않다. |
|
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LEVER 장식, RING 장식, D-RING 장식, SPOT 장식, PIPE 장식 |
|
|
 |
|
|
|
|
 |
|
BOARD는 레쟈크지 합지, 색지 합지, 다이아스카프지 등이 있으며
변형되기 쉽고 내구성도 강한편이 아니어서 대용량 보다는
주로 소, 중 용량 화일에 많이 사용된다. (전산 화일의 경우는 예외임)
박(箔)인쇄, 실크스크린 인쇄가 가능하며 옵셋 인쇄 및
포켓 부착 작업은 불가능하다.
대부분의 경우 소량 주문이 가능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며
장기 보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. |
|
|
|
 |
|
<주로 사용되는 장식>
전산 장식, LEVER 장식, SPRING 장식, LETTER 장식,
소용량의 RING 및 D-RING 장식, MINI PIPE 장식 |
|
|
 |
|
|